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RGB
- html 태그
- id 선택자
- iframe
- 인접 형제 결합자
- css
- 일반 형제 결합자
- Live Server
- 아두이노
- background-color 속성
- height속성
- padding 속성
- sup태그
- sub태그
- br 태그
- 자식결합자
- html
- not 의사클래스
- reveal in file explorer
- width속성
- 임베디드
- tag html
- 전체 선택자
- focus 의사클래스
- Checked 의사 클래스
- html tag i
- iframe 태그
- go live
- RGBA
- i 태그
- Today
- Total
목록Javascript/개념정리 (14)
so woon!
학습일 : 2022. 11. 01 암기하세요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 객체화 const formData = new FormData(); // 요청시 같이 보낼 데이터 xhr.open('요청 방식', '요청 주소'); xhr.onreadystatechange = () => { if (xhr.readyState === XMLHttpRequest.DONE) { // XMLHttpRequest.DONE == 4임.어찌 되었든 끝난다면 if (xhr.status >= 200 && xhr.status < 300) {// 200이상 300미만 일 경우 // 요청 성공 로직 구현 } else { // 요청 실패 로직 구현 } } }; xhr.send(formData); 사용 예..

학습일 : 2022. 09. 21 오브젝트 오브젝트(Object) 는 하나의 변수에 키(Key)와 값(Value)으로 이루어진 쌍(Pair)을 여러개 담고자 할 때 사용한다. 배열(Array)과 달리 오브젝트는 인덱스 번호를 가지지 않으므로 사용에 유의한다. 이는 각 쌍이 되는 원소의 순서와 무관한 데이터 컨테이너라는 뜻이다. 1. 선언 오브젝트는 다음과 같이 중괄호({,})를 이용하여 선언한다. let someObject = {}; 선언과 동시에 값을 명시하려는 경우 키 : 값 의 형태를 쉼표(,)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초기화 할 수 있다. let ticket = { from: 'ICN', to: 'NRT', dpt: '2022-09-21 11:26', dur: '02:30', seat: '17A' ..
학습일 : 2022. 09. 21 반복문 반복문은 어떠한 특정 구문(들)을 정해진 횟수나 특정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하고자할 때 사용한다. 1. `for` 반복문 `for` 반복문은 정수인 변수(이름은 주로 `i`)에 대해 그 값이 특정한 값 이상/이하/초과/미만일 때 그 값을 증가/감하며 어떠한 횟수만큼 반복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 아래 문법에서 초기화부분에 반복에 사용할 정수인 변수를 선언한다. - 아래 문법에서 조건부분에 위 초기화 에서 선언한 변수에 대해 구현부를 반복할 조건을 명시한다. - 아래 문법에서 증감부분에 위 초기화에서 선언한 변수를 증/가감할 표현식을 작성한다. - `for` 반복문 실행 최초에 초기화를 1회 하며, 우선 조건을 확인한 뒤, 이가 참이면, 구현부를 실행하고, 증감한다..
학습일 : 2022. 09. 20 데이터 타입 타입 간혹 Javascript에는 타입이 없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Javascript에도 타입은 존재하며 다만 변수/상수 선언시 명시하지 않을 뿐임. typeof(x) : 전달된 x의 타입을 문자열로 반환한다. number : 전달된 값이 숫자임. string : 전달된 값이 문자열임. boolean : 전달된 값이 논리형임. object : 전달된 값이 다른 타입으로 정의할 수 없는 일반 객체라는 뜻. undefined : 전달된 값이 undefined 라는 뜻. function : 전달된 값이 함수임. 숫자 0부터 9 혹은 마침표(.)로 이루어진 값. 지수표기법(Exponential Notation) : {n}E{x} 방식으로 표기. 이는 n 곱하기 1..

학습일 : 2022. 09. 20 배열 1. 배열(Array)은 하나의 변수에 여러개의 값을 담기 위해 사용한다. 2. 특별한 선언 방법은 없고 다음과 같이 대괄호를 이용하여 선언한다. let someArray = [ ]; // 원소가 없는 배열 3. 어떠한 배열이 가지는 각 인자는 콤마(,)로 구분하여 여러개를 적을 수 있고, 대괄호와 인덱스(Index) 번호를 이용하여 접근하고 인덱스 번호는 0번부터 시작한다. let fruits = ['사과', '바나나', '코코넛']; console.log( fruits[0] ); // '사과' console.log( fruits[1] ); //바나나' 4. 속성(Properties) length : 해당 배열의 길이 (원소의 개수) 이다. 배열의 길이에서 1을 ..

학습일 : 2022. 09. 19 사용자 함수 (사용자) 함수(Function) 주로 특정 기능이나 반복되는 로직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반환('return') 반환은 어떠한 함수를 호출하여 해당 함수가 되는 값을 반환하기 위해 사용한다. return 반환값; 형식으로 사용한다. 함수는 호출(Call)하지 않으면 그 구현부가 가지는 내용이 실행되지 않는다. 일반 함수 일반 함수는 호이스팅(Hoisting)이 발생한다. 호이스팅은 JS파일 다운로드 완료 후 실행 전에 존재하는 모든 함수를 파악하는 기능이다. 고로, 선언 전 호출이 가능하다. function 함수 이름(매개 변수) { // 함수 구현부 } 가령, 전달 받은 전달 인자 a와 b의 합을 반환하는 함수 sum는 아래와 같이 만든다. funct..
학습일 : 2022. 09. 19 이벤트(Event) 이벤트(Event) 이벤트란 어떠한 요소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이나 어떠한 객체의 결과에 상응하는 로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게 해준다. '~했을때 ~한다'의 개념으로 생각한다. (요소인 변수).addEventListener(이벤트 종류, 함수) 형식으로 사용하며 '이벤트 종류'가 발생하면 이어 나오는 '함수'를 실행하는 것. 이벤트 종류 : 문자열로 제공하며 아래와 같은 이벤트 종류가 있다. - 'click' : 해당 요소를 클릭했을 때 발생.
학습일 : 2022. 09. 19 09. 20 요소 선택 요소 선택 '요소 선택'이란 HTML 문서에 있는 태그(Tag)를 변수의 값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1. ID 속성으로 선택 HTML 태그가 가지고 있는 'id' 속성 값을 기준으로 요소를 선택하는 것이다. window.document.getElementById(x) : 주어진 x 문자열의 값을 ID로 가지는 요소를 선택한다. 그러한 요소가 없다면(그런 ID를 가지는 태그가 없다면) undefined를 반환(Return)한다. 2. CSS 선택자로 선택 어떠한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식 혹은 자손을 CSS 문법의 선택자를 기준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어떠한 부모 요소인 변수).querySelector(x) : 선행하는 부모 요소의 자식 혹은 자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