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up태그
- tag html
- css
- padding 속성
- width속성
- RGBA
- html tag i
- 임베디드
- Checked 의사 클래스
- reveal in file explorer
- html 태그
- not 의사클래스
- iframe
- 자식결합자
- i 태그
- Live Server
- iframe 태그
- focus 의사클래스
- go live
- id 선택자
- sub태그
- 전체 선택자
- background-color 속성
- 아두이노
- height속성
- html
- 인접 형제 결합자
- 일반 형제 결합자
- RGB
- br 태그
- Today
- Total
so woon!
[공통] 데이터 타입 본문
학습일 : 2022. 09. 20
데이터 타입
타입
간혹 Javascript에는 타입이 없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Javascript에도 타입은 존재하며
다만 변수/상수 선언시 명시하지 않을 뿐임.
typeof(x) : 전달된 x의 타입을 문자열로 반환한다.
number : 전달된 값이 숫자임.
string : 전달된 값이 문자열임.
boolean : 전달된 값이 논리형임.
object : 전달된 값이 다른 타입으로 정의할 수 없는 일반 객체라는 뜻.
undefined : 전달된 값이 undefined 라는 뜻.
function : 전달된 값이 함수임.
숫자
0부터 9 혹은 마침표(.)로 이루어진 값.
지수표기법(Exponential Notation) : {n}E{x} 방식으로 표기.
이는 n 곱하기 10의 x승이라는 뜻이다.
가령 1E+1 은 10이고, 1E+2 는 100이다.
문자열
쌍따옴표(") 혹은 홑따옴표(') 혹은 백틱(`)으로 감싼 값을 의미한다.
주의 : 그냥 123은 숫자 백이십삼이지만 '123'은 문자열 일이삼이다.
따라서 '123' + 4 (문자열 일이삼 더하기 숫자 사)은 문자열 합치기로 작동하고
그 결과가 '1234'(문자열 일이삼사)로 나오게 된다.
논리값
참과 거짓, 두개로 이루어진 값으로 참은 true, 거짓은 false 이다.
기타
NaN : (안 중요) NaN(Not a Number)은 숫자가 아닌 값이다.
typeof(NaN)은 'number'를 반환한다.
무한수를 무한수로 나누면 NaN을 반환한다.
Infinity : (안 중요) 무한한 수를 의미한다. 어떠한 값을 0으로 나누면 반환되는 값이다.
typeof(Infinity)는 'number'를 반환한다.
null : 값이 의도적으로 없음을 의미한다.
typeof(null)은 'object'를 반환한다.
undefined : 값이 의도했든 안했든 없음을 의미한다.
변수 선언과 동시에 값을 초기화하지 않으면 설정되는 값이다.
typeof(undefined)는 'undefined'를 반환한다.
'Javascript >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통] 오브젝트 (Object) (0) | 2022.09.22 |
---|---|
[공통] 반복문 (0) | 2022.09.22 |
[공통] 배열 (0) | 2022.09.20 |
[공통] 사용자 함수 (1) | 2022.09.19 |
[공통] 이벤트 (0) | 2022.09.19 |